2025년이 되면서 많은 분들이 아파트 재산세가 얼마나 나올지 궁금해하시죠? 특히 1세대 1주택자이신 분들은 “올해는 감면 혜택이 얼마나 될까?”, “세율이 바뀌었다던데 실제로 얼마나 줄어들까?” 하는 걱정을 하실 텐데요. 오늘은 2025 재산세율과 1주택자 재산세 혜택을 중심으로 쉽게 풀어 설명해드릴게요.
1. 아파트 재산세, 언제 내나요?
우선 아파트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집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6월 1일 이전에 아파트를 샀다면 올해 재산세는 본인이 내야 하고, 6월 2일 이후에 계약이 이뤄졌다면 이전 집주인이 납세의무자가 됩니다.
납부는 두 번에 나눠서 진행돼요. 첫 번째는 7월 16일부터 31일, 두 번째는 9월 16일부터 30일까지입니다. 만약 세액이 20만 원 이하라면 7월에 한 번에 다 내게 되고요.
2. 재산세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이 부분이에요. 아파트 재산세는 단순히 공시가격으로 계산되는 게 아니라 몇 단계를 거쳐서 계산됩니다.
(1) 과세표준 구하기
먼저,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계산해서 과세표준을 정해요. 2025년 기준 공정시장가액비율은 **60%**입니다. 하지만 1세대 1주택자는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43~45%로 낮춰서 적용하고 있어요. 이게 바로 첫 번째 1주택자 재산세 혜택이죠.
예를 들어, 공시가격이 5억 원인 아파트가 있다고 해볼게요.
- 일반 기준: 5억 × 60% = 3억 원 (과세표준)
- 1주택자 기준: 5억 × 43% = 2억 1500만 원 (과세표준)
(2) 재산세율 적용
이제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돼요. 여기서도 1세대 1주택자에게는 별도 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재산세 부담이 확 줄어듭니다.
과세표준 구간일반 세율1세대 1주택자 세율
6천만 원 이하 | 0.1% | 0.05% |
6천만~1억5천만 원 | 0.15% | 0.1% |
1억5천만~3억 원 | 0.25% | 0.2% |
3억 원 초과 | 0.4% | 0.35% |
위 예시처럼 1주택자에게 적용되는 세율은 확실히 낮죠? 2025 재산세율이 전체적으로는 그대로지만, 1주택자 재산세 혜택이 눈에 띄게 적용되고 있어요.
(3) 추가 세금도 있어요
여기서 끝이 아니에요. 도시지역분, 지방교육세, 지역자원시설세 같은 부가세도 붙습니다. 그래서 실제 고지서를 보면 생각보다 금액이 더 나오는 경우가 많죠. 이 부분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3. 2025년 달라진 점은?
올해는 특히 1세대 1주택자에게 유리한 변화가 있었어요. 대표적인 건 다음과 같아요:
- 공정시장가액비율 완화: 기존 60%에서 43~45%로 낮춰 적용
- 세율 인하: 위 표에서 보셨듯이, 1주택자 세율이 일반보다 낮음
- 감면 혜택 확대: 저가 주택, 일부 지역은 최대 30% 감면도 가능
이러한 변화 덕분에 2025 재산세율이 동일하더라도, 1주택자 재산세 혜택을 받는 분들은 실질 세부담이 많이 줄어들었어요.
4. 납부는 어떻게 하나요?
재산세는 고지서가 우편이나 전자문서로 발송됩니다. 최근엔 카카오톡, 문자 등으로도 알림이 오고, 정부24나 **위택스(WETAX)**에서도 납부 가능합니다.
납부 방법은 다양해요:
- 은행 창구 방문
- 가상계좌 이체
- 신용카드 결제
- 스마트폰 간편결제 (페이코, 삼성페이 등)
요즘은 모바일 납부가 너무 편해져서 고지서만 잘 챙겨보면 어디서든 쉽게 낼 수 있어요.
5. 납부를 늦추면 어떻게 되나요?
혹시라도 납부 기한을 넘기면 어떻게 될까요? 3% 가산금이 붙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월 0.76%의 중가산금이 추가됩니다. 이게 꽤 쌓일 수 있어서 기한은 꼭 지키는 게 좋아요.
그리고 고지서가 안 왔다고 해서 모른 척하면 안 돼요. 고지서가 오지 않았더라도 납세의무는 존재하니까요. 정부24나 위택스에서 조회해보시면 됩니다.
6. 마무리하며
2025 재산세율은 큰 틀에서 변화는 없지만, 1세대 1주택자에겐 확실한 혜택이 적용되고 있어요. 공정시장가액비율 완화, 세율 인하, 감면 확대가 대표적이죠. 이처럼 1주택자 재산세 혜택은 매년 조금씩 바뀌고 있어서, 집을 소유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꼭 매년 확인하셔야 합니다.
혹시 내 재산세가 얼마나 나올지 미리 알고 싶다면? 각 지자체나 정부24 홈페이지에 있는 재산세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 공시가격만 입력하면 대략적인 세금이 얼마인지 바로 알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나는 1세대 1주택자니까 혜택 받을 수 있겠지?” 하고 지나치지 마시고, 실제 고지서를 잘 확인해보세요. 예상보다 많거나, 감면이 누락된 경우도 가끔 있으니까요. 궁금한 점은 가까운 구청 세무과나 시청 홈페이지를 통해 문의하시는 게 가장 정확하답니다.
올해도 꼼꼼히 체크하셔서, 억울하게 더 내는 일 없도록 하시길 바랄게요!
'오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쿠폰 신청방법] 1인당 최대 55만 원! 지역상품권 사용처까지 한눈에 보기 (0) | 2025.07.15 |
---|